코스안내
-
제주4·3평화기념관
- 상세지역
- 제주
- 주제
- 민주
- 유적명
- 제주4·3평화기념관
- 시설종류
- 기념관
- 건립연도
- 2008
- 휴일
- 매월 첫째·셋째 월요일 휴관
- 내용
-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에 주민들이 희생한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로 발생한 소요사태와 1955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령이 해제될 때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입니다. 7년여 간 군·경의 토벌과 좌익무장대의 공격으로 경찰 140여명 등 군·경과 무장대뿐만 아니라 주민 3만여명이 희생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군·경은 무고한 양민들까지 무차별적으로 학살하였는데, 2000년에야 관련법이 제정되어 진상조사가 이루어졌고 2003년 국가의 잘못에 대해 대통령이 공식 사과를 하였습니다. 기념관은 총 6개관이고, 5관에는 문형순 서장 등 경찰의인들이 포함된 ‘제주 4·3 의인들’ 코너가 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제주 제주시 명림로 430 지도보기 교통편 제주공항에서 343, 344번 버스 승차 → 4?3 평화공원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한라수련원, 에코랜드 테마파크
-
서귀포 문형순 서장 공덕비
- 상세지역
- 제주
- 주제
- 민주
- 유적명
- 서귀포 문형순 서장 공덕비
- 시설종류
- 비석
- 건립연도
- 2005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제주4·3사건 당시인 1949년 초, 대정읍 하모리 주민 100여명의 이름이 적힌 좌익총책의 명부가 압수되어 해당 주민들이 처형당할 위기에 처하자 당시 문형순 모슬포 경찰서장은 모슬포교회 조남수 목사의 청원을 받아들여 해당 주민들을 자수하게 한 후 훈방하여 목숨을 구했습니다. 좌익으로 몰리거나 도와주기라도 하면 제대로 된 재판도 없이 무조건 처형당하기 일쑤이던 당시 상황에서 자신의 목숨을 건 용기 있는 행동이었습니다. 당시의 생존자 중 일부 주민들이 2005년 6월25일 문형순 서장의 공덕비를 세워 그 뜻을 기리고 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2995-1 지도보기 교통편 서귀포버스터미널에서 202번 버스 승차 → 진개동산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모슬포항, 산방산
-
문형순 서장 흉상
- 상세지역
- 제주
- 주제
- 민주
- 유적명
- 문형순 서장 흉상
- 시설종류
- 흉상
- 건립연도
- 2019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국민부 중앙호위대장 등 항일 독립군으로 평생을 살아 온 문형순 서장은 1947년 경찰에 투신하여 제주4·3사건의 한복판에 서 있었습니다. 1949년 모슬포 서장 때는 대정읍 주민 100여명을 살렸고, 성산포 서장이었던 1950년 8월에는 계엄군의 예비검속자 총살명령에 대해 “부당하므로 불이행”이라고 문서에 기재하며 거부하여 278명의 목숨을 살렸습니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국민의 생명을 지켜냈던 문형순 서장은 2018년 올해의 경찰영웅으로 선정되어 2018년11월1일 제주지방경찰청에 흉상이 건립되었습니다. 또한, 제주지방경찰청에서는 매년 문형순 서장 기일인 6월 20일 전후 일주일을 추모주간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제주 제주시 노형동 550 제주경찰청 추모·시민공원內 지도보기 교통편 제주공항에서 331, 332번 버스 승차 → 한라수목원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용두암, 함덕해수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