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안내
- 봉화 지용호 서장 순직비, 동상
- 칠곡 다부동 구국경찰충혼비
- 김천 부항지서 망루
- 대구 2·28민주운동기념관
- 함안 6·25전쟁 경찰승전탑
- 마산 국립3·15민주묘지
- 마산 김주열 열사 추모의 벽
- 경주 이기태 경감 추모 흉상
- 부산 동의대 순국경찰관 추모비
-
봉화 지용호 서장 순직비, 동상
- 상세지역
- 경북
- 주제
- 구국
- 유적명
- 봉화 지용호 서장 순직비, 동상
- 시설종류
- 동상
- 건립연도
- 1994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1949년 6월 17일 지용호 봉화경찰서장은 관내 재산지서에 무장공비들이 습격했다는 급보를 받고, 46명의 토벌대를 이끌고 출동하던 중 공비 200명의 급습을 받아 전멸당할 위기에 처하자 “내가 봉화경찰서장이다. 나만 죽이고 다른 사람들은 보내주라.”고 나서 부하들의 목숨을 구하고 희생하였습니다. 지휘관으로서 자신을 희생하고 부하들을 살린 지용호 서장의 용기와 사명감은 모든 이들에게 감동과 큰 울림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봉화경찰서는 매년 지용호 서장 추념식을 개최하고 있으며, 봉화군에서도 그의 업적을 기려 인근 도로 2.3km를 ‘호국영웅 지용호로’로 이름 붙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북 봉화군 봉성면 봉양리 37-1 지도보기 교통편 봉화공용터미널에서 33번 버스 승차 → 율곡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주왕산
-
칠곡 다부동 구국경찰충혼비
- 상세지역
- 경북
- 주제
- 구국
- 유적명
- 칠곡 다부동 구국경찰충혼비
- 시설종류
- 비석
- 건립연도
- 2001
- 휴일
- 연중무휴(기념관은 명절 휴관)
- 내용
-
6·25전쟁 당시 최후 방어선이었던 낙동강 전선에는 국군·유엔군과 함께 경찰도 1만5천여명이 참전하였고, 아군은 수많은 희생 끝에 전선을 지켜냈습니다. 대구 인근인 이 곳 다부동은 낙동강 전선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경찰관들도 이곳에서 수없이 전사했습니다. 한편, 당시 불리해진 전황에 정부와 군사령부까지 대구에서 부산으로 후퇴하면서 경찰도 철수하도록 했지만, 조병옥 내무부장관은 “대구를 내주는 것은 나라를 내주는 것과 같다. 우리 경찰만이라도 반드시 대구를 사수해야 한다.”며 끝까지 대구를 사수하기도 하는 등 이 지역 일대에도 구국경찰의 충혼 의기가 남겨져 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북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 1486 지도보기 교통편 왜관북부버스정류장에서 32, 33번 버스 승차 → 다부전적기념관건너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송림사, 호국평화기념관, 양떼목장, 송정휴양림
-
김천 부항지서 망루
- 상세지역
- 경북
- 주제
- 구국
- 유적명
- 김천 부항지서 망루
- 시설종류
- 장소
- 건립연도
- 1949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김천 부항지서는 경찰지서를 습격하고 마을주민들을 위협하는 공비들을 막기 위하여 1949년 4월부터 5월까지 부항면 주민과 경찰이 힘을 합쳐 콘크리트 망루를 세우고 터널을 뚫어 만들었습니다.(국가등록문화재 제405호) 6·25 전쟁 중인 1951년에 2차례에 걸친 부항지서 습격이 있었는데, 북한군 1,000여 명의 공세가 집중된 2차 공세 중에는 5명이 전사하면서도 끝내 부항지서를 지켜냈습니다. 망루 외벽 곳곳에 남아있는 총탄의 흔적을 바라보고 있으면 당시의 긴박한 전투 상황 속에서 지역을 끝까지 사수하고자 했던 경찰관들의 의지가 느껴지는 듯합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북 김천시 부항면 사등3길 12 지도보기 교통편 김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885-1번 버스 승차 → 사등2리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부항댐 유원지, 직지사, 인현왕후길
-
대구 2·28민주운동기념관
- 상세지역
- 대구
- 주제
- 민주
- 유적명
- 대구 2·28민주운동기념관
- 시설종류
- 기념관
- 건립연도
- 2013
- 휴일
- 매주 월요일
- 내용
-
1960년 3월 15일 제4대 정?부통령 선거를 앞둔 2월 28일, 자유당 정부가 야당인 민주당 후보의 대구 유세에 학생들이 모이지 못하도록 일요일 등교를 지시, 강행하자 평소 독재정권에 반감을 가져 왔던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이 이에 반발하여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저항운동을 하였습니다. 다음날부터 전국의 학생들이 잇따라 궐기와 시위에 동참하였고, 3·15부정선거 이후에는 마산3·15의거, 4·19혁명으로 이어졌습니다. 2013년 2월, 2·28 민주운동의 의미와 정신을 기리기 위해 기념관이 건립되었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2.28길 9 지도보기 교통편 대구 지하철 1호선 명덕역 7번출구 인근명소 서문시장, 김광석 길, 청라언덕
-
함안 6·25전쟁 경찰승전탑
- 상세지역
- 경남
- 주제
- 구국
- 유적명
- 함안 6·25전쟁 경찰승전탑
- 시설종류
- 탑
- 건립연도
- 2011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서부전선 함안지구에 있던 국군 2개 사단이 칠곡 다부동으로 이동하면서 함안지구에는 전남·북 및 경남 3개도 경찰관 6,800명과 미군 25사단 일부만이 남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경찰관들은 1950년 8월 18일부터 9월 15일까지 치열한 수많은 전투를 치러내며 북한군 4개 사단을 격퇴하였습니다. 미8군 사령관인 워커 중장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라며 대한민국 경찰의 전투력과 전공을 극찬했습니다. 당시 희생한 경찰관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격전지였던 구혜리에 2011년 10월 12일 경찰승전탑을 건립하였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함안군 대산면 구혜리 700-3 지도보기 교통편 함안버스터미널 승차 → 구룡정사거리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함안 생태공원, 입곡군립공원
-
마산 국립3·15민주묘지
- 상세지역
- 경남
- 주제
- 민주
- 유적명
- 마산 국립3·15민주묘지
- 시설종류
- 묘지
- 건립연도
- 2003
- 휴일
- 연중무휴(기념관은 매주 월요일 휴관)
- 내용
-
마산에서는 1960년 3·15부정선거에 반발하여 3·15의거가 있었고,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이 민주묘지는 당시 독재와 불의에 맞서 싸운 3·15의거 유공자들이 안장되어 있는 곳입니다. 당시 경찰들이 부정선거에 맞서 시위를 벌이던 군중을 향해 발포하여 마산시민 12명이 숨지고 200여명이 부상당한 비극이 발생하였습니다. 총 3만8천평에 이르는 민주묘지에서 ‘민주경찰’의 가치를 새삼 깨닫고 역사를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3.15성역로 75 지도보기 교통편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162, 262, 263번 버스 승차 → 석보아파트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진해 군항제, 해양드라마 세트장
-
마산 김주열 열사 추모의 벽
- 상세지역
- 경남
- 주제
- 민주
- 유적명
- 마산 김주열 열사 추모의 벽
- 시설종류
- 장소
- 건립연도
- 2014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이 곳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277호로 지정된 4월 혁명 발원지입니다. 1960년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3·15부정선거에 항거하여 궐기한 마산 3·15의거 시위 중 행방불명되었던 고등학생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떠올랐습니다. 오른쪽 눈에 경찰 최루탄이 박힌 끔찍한 모습이었습니다. 당시 경찰이 김주열 열사의 시신에 돌을 매달아 바다에 던져버린 것이었는데 27일 만에 수면 위로 떠올랐던 것입니다. 이 일로 시민들의 분노는 4·11 마산민중항쟁으로 폭발했고,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결국 4·19혁명까지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코 잊지 말고 진지하게 성찰해야 할 경찰의 아픈 역사입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대로 220 김주열시신인양지 지도보기 교통편 마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60, 260, 102, 108번 버스 승차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정류장 하차 인근명소 돌섬해상유원지, 광암해수욕장
-
경주 이기태 경감 추모 흉상
- 상세지역
- 경북
- 주제
- 민생
- 유적명
- 경주 이기태 경감 추모 흉상
- 시설종류
- 흉상
- 건립연도
- 2016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경찰의 날이었던 2015년 10월 21일 112신고를 받고 출동한 이기태 경감은 경주역 철길 위에 누워있던 정신지체 장애인을 구하기 위해 철길위로 뛰어 올랐다가 열차에 치어 순직하였습니다. 33년간 경찰관으로 재직하다 정년퇴직이 불과 3년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위기에 처한 국민을 구하기 위해 살신성인한 이기태 경감의 가슴 먹먹한 사연은 경찰관의 참된 용기와 숭고한 희생정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찰의인 이기태 경감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2016년 5월 경주역 광장에 흉상이 세워졌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경북 경주시 원화로 266 지도보기 교통편 기차 이용, 중앙선 경주역 하차 인근명소 첨성대, 불국사, 황남동
-
부산 동의대 순국경찰관 추모비
- 상세지역
- 부산
- 주제
- 민주
- 유적명
- 부산 동의대 순국경찰관 추모비
- 시설종류
- 비석
- 건립연도
- 2009
- 휴일
- 연중무휴
- 내용
-
1989년 5월 3일 부산 동의대에서 농성중인 학생들에게 감금된 경찰 5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투척한 화염병에 경찰관 7명이 순직하고 10여명이 부상당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하지만, 민주화 과정에서 제대로 된 평가도 받지 못하다가 2012년 「동의대 사건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동의대 사건 희생 경찰관들은 정당한 법집행 과정에서 순직하였다는 평가와 보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부산지방경찰청에서는 2009년 10월 동의대 사건 순직 경찰관 7명을 기리기 위해 추모비를 건립하였습니다.
- 상세정보
-
HOME > 기관소개 > 경찰역사 > 경찰역사순례길 메뉴의 게시물 정보이며 주소, 새창으로 열리는 지도 링크, 교통편, 인근명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소 부산 연제구 중앙대로 999 지도보기 교통편 부산지하철 1호선 시청역 1번 출구 인근명소 해운대·광안리, 자갈치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