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비게이션 내용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푸터 내용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은 자유로운 의견을 남기는 공간으로 민원관련 답변은 드리지 않습니다.
민원관련 문의사항은 국민신문고와 연계된 “경찰민원포털”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특정 개인 및 단체에 대한 비난, 상업성 광고, 허위사실 유포,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게시 등 법령을 위반하거나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는 사이버경찰청 운영규칙 제17조에 의거하여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번호, 연락처 등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이버 경찰청은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습니다.
  • 만 14세 미만 이용자는 게시물 등록이 불가합니다.
New 한국 사회의 이중적인 구조에 대한 쓸쓸한 고찰.....
등록자명 김** 등록일 2025-09-12 12:01:07
조회수 18
한국 사회의 이중적인 구조에 대한 쓸쓸한 고찰....

한국의 사회는 유럽 사회나 미국의 사회와 다르게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한국사회는 정해진 원칙대로 움직이는 유럽의 사회나 미국사회와 다르게 움직이는 사회입니다. 한국사회는 정해진 원칙보다는 실제로 적용되는 사회의 내부규정과 내부기준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실제로 적용되는 사회의 내부 규정이 헌법과 법률에 우선해서 적용됩니다.
내부규정이 사회를 움직이는 역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 사회는 이중적인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겉과 속이 다른 사회입니다.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겉모습 안에 감추어진 진정한 본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헌법과 법률이 우리 사회의 겉모습이고 사회의 내부규정과 내부기준이 우리 사회의 본모습입니다. 이렇게 우리 사회는 이중적인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부기준과 내부규정에 대해서 세 가지 내용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첫 번째 내용으로 이러한 이중적인 구조가 만들어진 이유와 배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우리 사회가 이중적인 구조를 갖게 된 이유는 6.25 전쟁 당시에 남하했던 북쪽의 실향민 세력 때문입니다. 실향민들이라는 북에서 오신 분들이 우리 사회의 지배층으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지배층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실향민들은 유난히 고향에 대한 애향심이 강해서 동향인 북쪽 사람들에 대한 특별한 애착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고향 사람에 대한 특별한 애착이 사회에 이중적인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우리 사회의 이중적인 구조는 바로 북에서 오신 실향민을 우선시하고 특별히 대우하기 위한 내부규정과 내부기준입니다. 한마디로 실향민 출신의 지배세력이 같은 실향민들을 사회의 지배층으로 키우기 위해서 만들어진 규정입니다.
우리 사회는 옛날부터 북쪽에서 오신 어떤 분들이 지배세력으로 오랫동안 군림해 왔습니다. 지배세력으로 사회를 통치했던 북쪽의 사람들이 같은 북쪽 사람들을 지배층으로 키우기 위해서 만들어낸 이중적인 사회구조가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내용으로 내부규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내부규정은 사회의 각 분야에 포진해 있는 실향민 세력을 주축으로 다양하게 적용 됩니다. 한 가지 예를들면 교육기관인 학교의 경우 재학생 중에 실향민의 자녀가 재학하는 경우는 매우 특별한 기준과 규정이 적용 됩니다. 원칙상으로는 일반 학생과 같은 학생이지만 사실상 일반 학생과 전혀 다른 학생들입니다.학교의 내부 규정만이 아니라 입시규정도 특별하게 적용됩니다.
모든 국내 대학의 수시모집 입시규정은 실향민의 자녀에게 최우선으로 유리하게 적용됩니다.
교육기관의 예를들어 설명했지만 비단 교육기관 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모든 분야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내용으로 이중적인 사회구조가 어떻게 지금까지 존재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배층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실향민 세력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들과 동향인 자들을 양성해야 했습니다. 당연히 자연스럽게 고향이 같은 사람들을 선별해서 키우게 되었고 이 사람들이 또 다른 지배층으로 성장해서 똑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6.25 전쟁 이 후에 우리 사회에 유입된 실향민 세력은 마치 독일의 유태인 같은 사람들이었습니다.이 사람들은 한국 사회에 속해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다른 파벌을 형성하고 어느 집단에도 진정으로 소속하지 않고 여기저기 떠도는 풀잎처럼 뿌리가 없는 자들입니다. 뿌리가 없는 사람들이 우리 사회를 분열시키고 갈등을 조장하고 있습니다.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