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비게이션 내용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푸터 내용 바로가기

홍보콘텐츠

카드형 여름철 풍수해 국민행동요령
등록자명 경찰청 관리자100
등록일 2025-06-11 13:35:44
조회수 623
  • 어르신
비바람 올 때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주변 어르신께 알려주세요
날씨 소식을 자주 듣고, 가족과 연락해요
가족, 이웃, 이·통장 전화번호 집에 붙이기
먹는 약, 보청기, 지팡이 미리 챙겨요
안경, 전동휠체어 배터리 등 미리 확인
대피소와 대피소 가는 길 미리 알아봐요
가까운 대피소 읍·면·동사무소에 물어보기
비가 많이 온다고 하면
미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요
이웃과 함께 마을회관 등으로 미리 이동하기
대피 요청이 있으면 신속히 이동해요
공무원, 이·통장이 위험하다고 하면
마을회관 등 대피소로 이동하기
하천 주변, 산길, 논, 배수로는 위험해요
배수로/논둑, 하천/해안가, 산 주변 등
위험한 장소에 접근금지
행정안전부
  • 호우·태풍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산사태 → 붕괴 위험
인근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사전 대피
공무원, 이·통장 등 대피 요청 시 대피소로 이동
산비탈, 급경사지 근처 피하기
하천 재해 → 휩쓸림 위험
야외활동 자제, 물에 잠긴 길 이동 시 발밑 조심
비 내리기 전 배수로 점검, 비 내릴 땐 점검 자제
하천변, 배수로, 해안가 근처 피하기
지하공간 침수 → 침수 위험
지하공간에서 즉시 대피, 수방자재 사전 배치
침수 위험 있는 곳에 주차된 차량 비 내리기 전 이동
지하공간, 지하차도, 침수도로 피하기
행정안전부
  • 호우·태풍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① 언제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했나요? → 오전 6~12시 피해가 많이 발생했어요.
② 휩쓸림이나 침수사고는 어떤 행동 중에 많이 발생했나요? → 이동하거나 재해예방 활동 중에 많이 발생했어요.
③ 산사태로 인한 매몰사고는 어떤 상황에 많이 발생했나요? → 집안에서 일상생활 중에 많이 발생했어요.
④ 차량은 비교적 안전할까요? → 주행중인 차량/이동 주차 중에도 인명피해가 많아요.
산지, 하천
① 어두워지기 전 안전한 곳으로 이동
② 기상정보 확인하고 가족, 이웃과 연락
산지
산비탈, 급경사지 근처 피하기
공무원, 이·통장 등 대피 요청 시 대피소로 이동
하천
야외활동 자제하고 하천, 해안가 근처 피하기
비 내리기 전 배수로 점검, 비 내릴 땐 점검 자제
차량
<비 내리기 전>
침수 위험 있는 곳에 주차된 차량 이동
<비 내리는 중>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피하기
행정안전부
  • 낙뢰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30 - 30 안전 규칙 : 번개가 친 후 30초 이내에 천둥이 울리면 즉시 대피 마지막 천둥소리 후 30분 기다리고 이동
낙뢰 예보 시 야외활동 자제
등산, 낚시, 골프, 사이클, 러닝 등 자제
건물이나 자동차 안으로 대피
낮은 자세로 사람 간 5~10m 떨어져서 이동
나무 아래, 전신주, 물가 근처 피하기
산 위 암벽, 높은 구조물, 해안가, 운동장 등 피하기
전기가 잘 흐르는 물체 사용 자제
창문, 자전거, 금속물체 등 주의
전자제품, 흐르는 물 사용 자제
전자제품 사용 시 감전 주의/샤워, 설거지 등 물 사용 자제
피해자 발생 시 119 신고 후 응급처치
호흡/맥박 확인 후 인공호흡, 심폐소생술 실시
화상, 골절, 시청각 확인
행정안전부
  • 강풍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강풍이 시작되면 늦습니다. 대비는 바람이 불기 전에!
강풍 예보 시 야외활동 자제
흔들리는 문과 창문 보강
테이프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기
고정이 어려운 노후 창문 교체하기
바람 불기 전 외부 물건 정리
날아갈 수 있는 화분, 간판 등 이동 및 고정하기
바람 불기 전 취약 시설물 고정
비닐하우스, 공사장 자재·장비 보강 및 고정하기
감전 및 낙하물 주의
전신주(전선), 나무 밑, 간판, 유리창 피하기
떨어진 전깃줄 만지지 않기
전도 위험물 근처 차량 안전 확보
간판, 나무 밑, 공사장 근처에 주차 피하기
행정안전부
  • 해일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폭풍해일 징후>
강한 바람이 불며, 해안의 바닷물이 갑자기 빠져나가는 현상이 일어남
해일 특보를 주의 깊게 듣기
사전에 대피장소 알아보기
TV, 스마트폰,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해일 특보 확인
해일 경보 발령 시 즉시 대피
높은 지대로 즉시 이동
튼튼한 건물의 가장 높은 곳으로 이동
벽돌, 콘크리트 건물 3층 이상으로 이동
특보가 해제된 후 이동
해일 특보 해제 전엔 낮은 곳으로 이동 금지
행정안전부
  • 풍랑/너울성 파도
국민안전재난포털
"잔잔한 바다에서 갑자기 큰 물결로 찾아오는 '너울성 파도'에 주의하세요"
- 너울성 파도란? : 기상현상에 의해 해면이 상승하여 만들어지는 큰 물결
- 너울성 파도의 위험 : 잔잔한 파도로 다가오다가 방파제 등에 부딪히면서 위력이 매우 커짐
풍랑 특보 정보 수시 확인
선착장/양식시설 단단히 고정
해안가, 방파제, 해안도로 접근금지
높은 파도에 휩쓸릴 수 있는 해안가 근처 벗어나기
낚시, 해양레저, 수영 즉시 중지
특보 시엔 출항 금지 조업 중엔 즉시 대피
항해·조업 중엔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 연락
바다에서는 구명조끼 반드시 착용
행정안전부
  • 홍수
이렇게 행동하세요!
국민안전재난포털
비가 올 때 배수구·물꼬 점검과 이동주차 시 휩쓸림 사고 위험!
기상정보 수시 확인
사전에 대피장소 알아두기
저지대, 비탈면, 산지, 전신주 근처 피하기
비 오기 전 배수로 점검
비 오기 전 하천 변에 주차된 차량 이동
대피 시 전기와 가스 차단
침수된 집 복귀 시 안전 확인
전기와 가스 안전점검 후 사용
수돗물 오염 여부 확인 후 사용
행정안전부